목록한식조리실무 (8)
TaeTae
3-2 함께 먹으면 상극인 음식궁합
3-1 우리나라의 약식동원과 음양오행설
2-2 한국의 24절기와 음식 • 시절식 • 24절기(二十四節氣) (봄) 입춘 명태순대(明太-), 오신채(五辛菜), 세생채(細生菜) 우수 오곡밥 경칩 고로쇠물 마시기 춘분 당귀나 숙지황을 끓인 물 청명 찬 음식, 청명주 담그기 곡우 우전, 곡우물 마시기 (여름) 입하 쑥버무리 소만 냉잇국 망종 보리그스름 먹기(전남), 보릿가루로 죽 해먹기(제주도) 하지 감자요리 소서 수제비, 국수 대서 민어포, 수박 같은 과일류 (가을) 입추 - 처서 - 백로 오이 추분 포도 한로 추어탕, 국화전 상강 국화주 (겨울) 입동 팥시루떡, 추어탕 소설 - 대설 - 동지 동지팥죽, 동치미 소한 - 대한 - • 사계절이 뚜렷한 우리나라의 특징을 이해하고, 음력으로 바라본 시절식을 학습함 • 24절기마다 식재료의 의미와 나누어 먹..
2-1 한국의 지역별 특징 및 상차림 • 한식의 각 지역별 특징 • 한식 상차림 • 한국의 특별식 • 한식 상차림은 사람 수, 반찬의 가짓수, 신분, 계절에 따라 다양하게 불리어 지고 있으며, 색과 시기에 따라 특별한 의미를 포함하고 있는 음식이 많음 • 현대의 특별식은 간편하게 파티형식으로 다양하게 변하고 있지만, 전통 방식의 상차림을 이해하는 것은 현대 식문화의 발전에 기초를 이룰 수 있는 중요한 근거가 됨
1-2 한국음식의 특징
1-1 강의 소개 및 한국 음식의 이해
• 한국음식의 지리학적 특징과 역사적 특징을 이해함 • 역사적으로 토기와 청동기의 발견이 음식문화와 어떠한 관계가 있는지 이해함 • 한국음식은 주식과 부식이 뚜렷한 특징이 있음 • 일상식, 기호식, 의례식, 특별식 등 다양하게 발전되어 오고 있음
1 • 한식조리실무 소개, 한국음식 이해 • 한국음식의 특징 2 • 한국의 지역별특징 및 상차림 • 한국의 24절기와 음식 3 • 우리나라의 약식동원과 음양오행설 • 함께 먹으면 상극인 음식궁합 4 • 식기문화 • 한국의 외식관습과 식사관습 5 • 한식의 양념과 고명 • 한식의 기본재료 손질법 6 • 한식의 기본 재료 썰기 • 한식의 양념 만들기와 육수, 즙내기 7 • 식품위생개론 • 실습1. 비빔밥, 콩나물밥, 완자탕, 장국죽, 쇠고기전골 8 • 식품학 • 실습2. 화전, 매작과, 배숙, 두부조림, 홍합초, 보쌈김치, 오이소박이, 두부전골 9 • 조리이론 및 원가계산 • 실습3. 닭찜, 돼지갈비찜, 북어찜, 계란찜, 오이숙짱아찌, 무숙짱아찌, 채소튀김 10 • 공중 보건학 • 실습4. 육원전, 표고전,..